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1958년 일본시리즈

덤프버전 :

[ 펼치기 · 접기 ]

파일: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.svg파일:1950-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붉은색).svg파일:1950-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붉은색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54-60).svg파일:주니치식 c로고.svg
1950년 일본시리즈1951년 일본시리즈1952년 일본시리즈1953년 일본시리즈1954년 일본시리즈
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54-60).svg파일: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.svg파일: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.svg파일: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.svg파일: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.svg
1955년 일본시리즈1956년 일본시리즈1957년 일본시리즈1958년 일본시리즈1959년 일본시리즈
파일:타이요 훼일즈 심볼(1960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토에이 모자로고 1960s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.svg
1960년 일본시리즈1961년 일본시리즈1962년 일본시리즈1963년 일본시리즈1964년 일본시리즈
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
1965년 일본시리즈1966년 일본시리즈1967년 일본시리즈1968년 일본시리즈1969년 일본시리즈
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61-74).svg파일:롯데 오리온즈 엠블럼.svg
1970년 일본시리즈1971년 일본시리즈1972년 일본시리즈1973년 일본시리즈1974년 일본시리즈
파일: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.svg파일: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.svg파일: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.svg파일: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.svg파일: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.svg
1975년 일본시리즈1976년 일본시리즈1977년 일본시리즈1978년 일본시리즈1979년 일본시리즈
파일: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75-84)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.svg
1980년 일본시리즈1981년 일본시리즈1982년 일본시리즈1983년 일본시리즈1984년 일본시리즈
파일: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(1985-92).svg
1985년 일본시리즈1986년 일본시리즈1987년 일본시리즈1988년 일본시리즈1989년 일본시리즈
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.svg
1990년 일본시리즈1991년 일본시리즈1992년 일본시리즈1993년 일본시리즈1994년 일본시리즈
파일: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(1994~2014).svg파일: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.svg파일: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(1994~2014).svg파일: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(1996~2008).svg파일: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.svg
1995년 일본시리즈1996년 일본시리즈1997년 일본시리즈1998년 일본시리즈1999년 일본시리즈
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.svg파일: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(1994~2014)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.svg파일: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
2000년 일본시리즈2001년 일본시리즈2002년 일본시리즈2003년 일본시리즈2004년 일본시리즈
파일: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.svg파일: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(2004~2021).svg파일:드래곤즈 블루 심볼.svg파일:세이부 라이온즈 심볼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.svg
2005년 일본시리즈2006년 일본시리즈2007년 일본시리즈2008년 일본시리즈2009년 일본시리즈
파일: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.svg파일: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.svg파일: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.svg파일: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.svg파일: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.svg
2010년 일본시리즈2011년 일본시리즈2012년 일본시리즈2013년 일본시리즈2014년 일본시리즈
파일: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.svg파일: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(2004~2021).svg파일: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.svg파일: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.svg파일: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.svg
2015년 일본시리즈2016년 일본시리즈2017년 일본시리즈2018년 일본시리즈2019년 일본시리즈
파일: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.svg파일: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.svg파일:오릭스 버팔로즈 심볼.svg파일: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.svg파일:국기.svg
2020년 일본시리즈2021년 일본시리즈2022년 일본시리즈2023년 일본시리즈2024년 일본시리즈






파일:1958_nishitetsu_lions_japan_champions.jpg
1958년 일본시리즈 우승팀
니시테츠 라이온즈
MVP이나오 가즈히사

1. 개요
2. 일정 및 결과
3. 경기 내용
3.1. 1차전
3.2. 2차전
3.3. 3차전
3.4. 4차전
3.5. 5차전
3.6. 6차전
3.7. 7차전
4. 타이틀 시상
5. 둘러보기 틀



1. 개요[편집]



1958년 10월 11일부터 10월 21일까지 개최된 일본프로야구 제9회 일본시리즈로, 퍼시픽리그 우승팀 니시테츠 라이온즈센트럴리그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맞붙어 니시테츠 라이온즈가 일본시리즈 역사상 최초의 3연패 후 4연승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이어 두 번째로 통산 3년 연속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. 요미우리에게는 구단 역사상 5번째 우승에 가장 가까운 순간이었지만, 끝내 단 1승을 남겨두고 내리 4연패를 당하며 코앞에서 우승을 놓쳐버리며 같은 팀을 상대로 3연속 준우승에 그친 통한의 승부로 기록되었다. 또한, 한 투수가 4승을 기록한 시리즈로도 유명하다. MVP를 수상한 이나오 가즈히사가 바로 주인공.[1]

2. 일정 및 결과[편집]


경기날짜경기장원정팀점수홈팀
1차전10월 11일(토)고라쿠엔 구장니시테츠 라이온즈29요미우리 자이언츠
2차전10월 12일(일)니시테츠 라이온즈37요미우리 자이언츠
3차전10월 14일(화)헤이와다이 구장요미우리 자이언츠10니시테츠 라이온즈
4차전10월 16일(목)[2]요미우리 자이언츠46니시테츠 라이온즈
5차전10월 17일(금)요미우리 자이언츠34니시테츠 라이온즈
6차전10월 20일(월)[3]고라쿠엔 구장니시테츠 라이온즈20요미우리 자이언츠
7차전10월 21일(화)니시테츠 라이온즈61요미우리 자이언츠
우승 : 니시테츠 라이온즈 (3년 연속, 통산 3회)


3. 경기 내용[편집]



3.1. 1차전 [편집]


1958년 10월 11일 (土) 고라쿠엔 구장
팀명선발투수123456789RHE
니시테츠이나오 카즈히사000010001261
요미우리후지타 모토시10110060X9160


3.2. 2차전[편집]



1958년 10월 12일(日) 고라쿠엔 구장
팀명선발투수123456789RHE
니시테츠시마바라 유키오001000020350
요미우리호리우치 쇼70000000X771

  • 승리투수 : 호리우치 쇼 (요미우리, 1승)
  • 패전투수 : 시마바라 유키오 (니시테츠, 1패)


3.3. 3차전[편집]


1958년 10월 14일(火) 헤이와다이 구장
팀명선발투수123456789RHE
요미우리후지타 모토시001000000130
니시테츠이나오 카즈히사000000000040

시리즈는 자이언츠로 기울고, 니시테츠는 일말의 가능성에 희망을 걸고 4차전을 준비하게 된다.


3.4. 4차전 [편집]


1958년 10월 16일(木)[4] 헤이와다이 구장
팀명선발투수123456789RHE
요미우리오토모 타쿠미2100001004100
니시테츠이나오 카즈히사03001110X681

니시테츠가 1승을 만회하는 데 성공한다.


3.5. 5차전 [편집]


1958년 10월 17일(金) 헤이와다이 구장
팀명선발투수12345678910RHE
요미우리호리우치 쇼3000000000350
니시테츠니시무라 사다아키0000002011X460

9회 말, 3-2로 벼랑 끝에 몰린 니시테츠가 극적인 동점을 만들어냈고, 이나오 가즈히사의 솔로 홈런으로 연장 10회 끝내기 역전승을 거두며 요미우리 3승-니시테츠 2승이 되었다.

3.6. 6차전 [편집]


1958년 10월 20일(月)[5] 고라쿠엔 구장
팀명선발투수123456789RHE
니시테츠이나오 카즈히사200000000252
요미우리'후지타 모토시000000000032

요미우리가 먼저 3승을 했다가 2패를 당하여, 고라쿠엔 구장으로 다시 돌아와서 치르는 일본시리즈의 6차전.

니시테츠가 1회 초 얻은 2점을 그대로 지키면서 니시테츠가 3승을 획득, 양팀 전부 3승의 상황이 되었다.

이렇게 하여 요미우리가 거둘 줄 알았던 일본시리즈 우승의 향방은 7차전에 결정나게 되었다.


3.7. 7차전[편집]


1958년 10월 21일(火) 고라쿠엔 구장
팀명선발투수123456789RHE
니시테츠'이나오 카즈히사3000200106111
요미우리호리우치 쇼000000001163

요미우리가 먼저 3승을 거두었으나, 양팀 모두 3승의 상태가 되어 절대 물러날 수 없게 된 7차전.

니시테츠가 6-1로 완승하며, 누구도 예상못한 3연패 후 4연승으로 3년 연속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다.


4. 타이틀 시상[편집]




5. 둘러보기 틀[편집]


||
[ 펼치기 · 접기 ]


||<tablewidth=100%><tablebgcolor=#ffffff,#191919><colbgcolor=#00bfff><colcolor=#000000> 모기업 관련 정보 ||모기업 파일:세이부철도 로고.svg 세이부 철도
과거 모기업 파일:서일본 철도 로고.svg 서일본 철도 ||
|| 일본시리즈 우승
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 ||1956 · 1957 · 1958 · 1982 · 1983 · 1986 · 1987 · 1988 · 1990 · 1991 · 1992 · 2004 · 2008 ||
|| 리그 우승
(23회)
||1954 · 1956 · 1957 · 1958 · 1963 · 1982 · 1983 · 1985 · 1986 · 1987 · 1988 · 1990 · 1991 · 1992 · 1993 · 1994 · 1997 · 1998 · 2002 · 2004 · 2008 · 2018 · 2019 ||
|| 퍼시픽리그
전·후기 우승
(1회)
||1982전기 ||
|| 클라이맥스 시리즈 ||2008 · 2010 · 2011 · 2012 · 2013 · 2017 · 2018 · 2019 · 2022 ||
|| 시즌 문서 ||2013-2021 · 2022 · 2023 · 2024월별문서 ||
|| 현역 선수 경력 ||쿠리야마 타쿠미/선수 경력 · 겐다 소스케/선수 경력 · 이마이 타츠야/선수 경력 · 나카무라 다케야/선수 경력
타이라 카이마/선수 경력 ||
||<|2> 경기장 ||1군 베루나 돔 · 2군 CAR3219 필드 · 지방 홈구장 사이타마현영 오미야공원 야구장 · 조모 신문 시키시마 구장 ||
||과거 헤이와다이 야구장 ||
|| 홈 중계 채널 ||파일:후지테레비2 로고.jpg 후지 테레비 2 ||
|| 주요 인물 ||감독 마쓰이 가즈오 · 선수회장 토노사키 슈타 · 주장 겐다 소스케 ||
|| 구단 상세 정보 ||선수단 및 등번호 · 역대 선수 · 응원가 · 유니폼 · 10.19(야구) ||
|| 틀 문서 ||<bgcolor=#00bfff> 세이부 철도 계열사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|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| 미스터 레오 ||
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9 17:12:48에 나무위키 1958년 일본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한미일 통틀어 세 번 나온 기록이다. 바로 다음해스기우라 타다시1984년최동원.[2] 10월 15일(수) 예정이었으나 우천으로 순연.[3] 10월 19일(일) 예정이었으나 우천으로 순연.[4] 10월 15일(水) 예정이었으나 우천으로 순연.[5] 10월 19일(日) 예정이었으나 우천으로 순연.